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자다가 죽음 심장마비 사망 죽는 이유 공포증

반응형

나이가 어느덧 60중반을 넘어서고 보니 영원할 것만 같았던 내 삶도 언젠가는 그 끝이 있겠구나 라는 생각이 현실적으로 다가와 나도 모르게 죽음 공포증에 대한 일종의 공황장애가 생긴 듯 합니다.

수십년을 함께 술잔을 기울여 온 옛 벗들이 자다가 심장마비로 죽음을 맞이했다는 비보를 접할 때면 이런 죽음에 대한 공포심은 더욱 커지는 듯 하더이다.

사실 이러한 죽음이 더더욱 슬프고 두렵게 느껴지는 이유 중 하나는 나의 죽음이 고독사로 마무리 되지 않을 까 하는 염려도 섞여 있습니다.


내가 자다가 죽음을 맞이 할 때 내 옆에 아무도 없을 그 허전함은 어떨까에 대해서도 두려운 마음이 있고 나의 사망 이후 모습이 행여나 누군가에게 비참하게 비춰지지 않을 까 하는 노파심도 있는 게 사실이지요.

여러분들과 혹은 나에게 조금의 위안을 하나 드리자면 사실 고독사는 노년층만의 문제는 아닌 것이 작금의 대한민국의 현실입니다.

이미 가족들 혹은 친구들과 단절되어 홀로 지내다 사망하는 사람의 숫자가 한해 3천건을 훌쩍 넘어섰다고 하지요. 물론 이중에는 50대, 60대의 중장년층이 대다수를 차지하는 것이 현실이기는 하지만 말입니다.

어쨌든 한해 평균 대한민국 국민이 사망하는 숫자에 비춰볼때 무려 1%, 다시말해 100명중 1명은 고독사로 삶을 마무리 한다고 하니 어떤 마음에서는 다소 위안이 드는 게 사실입니다.

자다가 죽는 사람들의 이유는 대부분 심장마비로 인한 사망입니다.
심장마비를 의학적으로 정확하게 정의하자면 심장을 둘러싸고 흐르는 관상동맥 경화로 발생하는 문제이고요.



아무래도 중장년층은 나이도 있고 하니 동맥경화 질환을 가진 분들이 많은데 이런 분들이 간혹 무리한 활동과 정신적으로 흥분 상태가 생기면 심근 수축력이 저하되어 혈액공급이 막혀 일종의 쇼크가 오게 되는 것이지요.

그러니 나이가 들수록 한결 부드러운 마음 씀씀이를 가지셔야 하는 것이구요.

어쨌든 죽음을 맞이하는 그 상황을 조사해보니 대체적으로 여자보다 남자들이 사망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여성의 고독사보다 남성의 고독사 비율이 무려 5배를 넘는다고 하니 그 부분에 있어서도 성별 차이가 상당합니다.

또한 수면 무호흡증 역시 자다가 죽음을 맞이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간혹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하지만 수면 무호흡증이라는 게 옆에 누군가 그 상황을 지켜보는 사람으로서는 남편 혹은 아내가 숨을 쉬는 것 같지 않아 공포심을 갖고 지켜보게 되지만 혼자인 경우는 본인이 이러한 신체적 증상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도 알기 쉽지 않죠.

실제로 병원에서 보도된 자료에 의하면 수면 무호흡증 환자는 75%가 스스로 질환을 인지조차 하고 있지 못하다고 하네요.



홀로 살고 계시는 노년층 여러분을 위해 간단하게 수면 무호흡증의 대표적인 증상을 말씀드려보도록 하지요.

첫번째, 아침에 두통이 있지 않으신가요?
두번째, 과도하게 졸음 증상이 있지 않으신가요?
세번째, 심한 코골이 증상이 있으신가요?
네번째, 평소 숨을 쉬려고 헐떡 거리는 일이 자주 있거나 잠시나마 호흡을 멈추는 증상을 느낀 바가 있나요?

이러한 증상들이 대표적인 수면 무호흡증 증세입니다.

사실 심장마비로 인해 자다가 죽는 이유는 사람으로서는 어찌할 방법도 예방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잠을 자다가 사망하는 경우를 안 당하기 위해서는 평소에 심장마비 예방법 관리는 잘 해두는 것이 좋겠지요.

* 심장마비 예방 방법



1) 금연을 하여 심장 마비 예방
2) 고혈압을 치료하여 심혈관 질환 예방
3) 포화지방 수치가 높은 음식 섭취 금지
4) 당뇨를 치료하여 적절한 혈당관리
5) 운동을 꾸준하게 하여 병의 근원을 없앨 것

특히 가족력이 있는 분들은 심장마비로 인해 사망할 확률이 높으니 조심하셔야 합니다.
고혈압에 좋은 나물과 음식을 조금 소개시켜드려보도록 하지요.

https://hellotalk.tistory.com/46

고혈압에 좋은 식용 봄나물 종류와 사진

오늘은 가족들과 나물 캐기에 나섰습니다. 봄 햇살인지 여름 햇살인지 구분은 안 되지만 바람은 아직도 겨울이 섞여 있었네요. 30년을 넘게 시골에서 나고 자랐지만 아직도 저는 가끔 냉이 모양

hellotalk.tistory.com

https://hellotalk.tistory.com/52

반응형